2025.01.26 (일)

  • 맑음동두천 6.1℃
  • 맑음강릉 7.7℃
  • 맑음서울 7.4℃
  • 맑음대전 10.1℃
  • 맑음대구 12.0℃
  • 맑음울산 11.9℃
  • 맑음광주 11.2℃
  • 연무부산 12.6℃
  • 맑음고창 8.6℃
  • 맑음제주 13.0℃
  • 맑음강화 4.8℃
  • 맑음보은 9.5℃
  • 맑음금산 8.9℃
  • 맑음강진군 12.7℃
  • 맑음경주시 11.9℃
  • 맑음거제 11.9℃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사고유형

전공의 공백 메우던 부산대 교수 사망 왜?

[SP데일리=신민규 기자] 부산대 병원의 40대 안과 교수가 자택에서 숨진 채 발견되는 안타까운 사건이 의료 파업 붕괴로 인한 '과로사'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A교수의 사인은 뇌출혈로 지난달 전공의 집단 이탈 후 과로에 시달리며 주변에 피로를 호소했다고 전해졌다.

 

25일 언론보도에 따르면, 부산대 A 교수는 24일 새벽 4시 30분께 부산 해운대구 자택에서 쓰러진 채 발견됐고 쓰러진 A 교수를 발견한 아내가 119에 신고했다. 백병원 응급실로 이송돼 1시간 가량 심폐소생술을 받았으나 결국 숨졌다.


백병원 측에 따르면, A 교수는 응급실에 도착했을 때 이미 숨진 상태였다고. 사인은 뇌출혈 중에서도 지주막하뇌출혈(뇌 속 지주막 밑 출혈)이었다.

 

특히 숨진 A 교수가 전공의 집단 사직서 제출 이후 외래 진료와 당직, 응급 환자 수술까지 맡으며 주변에 피로를 호소해온 것으로 전해지면서 '과로사' 논란이 커지고 있다.

 

지난 2월20일 전공의 10명이 정부의 의대 증원 발표에 반발해 병원을 떠나면서 남은 교수들이 응급 환자 수술을 하고 난 뒤 외래 진료와 당직까지 서 온 것. 


이에 대해 부산대병원 관계자는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A 교수의 정확한 사망 원인을 확인 중"이라며 "최근 당직 근무 등이 얼마나 늘었는지도 파악하고 있다"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