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25 (토)

  • 맑음동두천 6.1℃
  • 맑음강릉 7.7℃
  • 맑음서울 7.4℃
  • 맑음대전 10.1℃
  • 맑음대구 12.0℃
  • 맑음울산 11.9℃
  • 맑음광주 11.2℃
  • 연무부산 12.6℃
  • 맑음고창 8.6℃
  • 맑음제주 13.0℃
  • 맑음강화 4.8℃
  • 맑음보은 9.5℃
  • 맑음금산 8.9℃
  • 맑음강진군 12.7℃
  • 맑음경주시 11.9℃
  • 맑음거제 11.9℃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별별뉴스

"공익신고 10년 새 13배 ‘껑충‘, 도로교통법 위반 최다"

작년 공공기관 공익신고 564만 건 접수로 "과징금 등 8843억원 역대 최대"

[SP데일리=신민규 기자] '공익신고자 보호법'이 시행된 지 10년 새 공공기관에 접수된 공익신고가 13배 이상 증가하고, 10건 중 8건은 ‘도로교통법 위반’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부과된 과징금·과태료 등은 8843억 원으로 역대 최대 액수다.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김홍일, 이하 국민권익위)는 지난 한 해 동안 566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공익신고 처리 및 공익신고자 보호제도 운영 실태를 조사하고 5일 그 결과를 발표했다.

 

실태조사 결과, 지난 한 해 동안 공공기관에 접수된 공익신고는 총 564만6520건으로 '공익신고자 보호법' 시행 초기(2011년 9월 ~ 2012년 41만8182건 접수)에 비해 13배 이상 증가했다.

 

국민권익위는 이에 대해 "그동안 세 차례에 걸쳐 공익신고 대상법률이 확대됐고, 공익신고자 보호제도의 인지도가 꾸준히 상승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또 566개 공공기관 중 489개 기관(86.4%)은 공익신고자 보호 자체 운영규정(운영지침, 조례 등)을 제정하고 545개 기관(96.3%)이 공익신고 창구를 설치·운영하는 등 각급기관이 공익신고자 보호와 지원을 위한 운영 기반을 마련한 것도 큰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공익신고 대상법률로 살펴보면,  '도로교통법' 위반 신고가 80.4%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근로기준법'(4.8%), '장애인등편의법'(4.0%) 위반 신고 순이었다.

 

이는 일상생활과 밀접한 공익침해행위에 대해 국민의 관심과 적극적인 신고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한편, 각급 공공기관이 지난해 처리한 공익신고 576만3824건 중 61.4%에 달하는 353만8425건에 대해서는 행정처분이나 수사기관에 고발‧송치된 것으로 확인됐다.

 
혐의가 확인된 피신고자에게는 총 8843억원의 과징금‧과태료 등이 부과됐다. 이는 전년보다 2000억원 이상 증가한 것으로 '공익신고자 보호법' 시행 이후 역대 최대 액수다.


각급 공공기관은 이러한 공익신고자의 기여를 고려해 지난해 공익신고 1만4660건에 대해 약 79억원의 보상금‧포상금을 자체적으로 지급하는 등 공익신고자를 적극 지원한 것으로 확인됐다.

 

국민권익위 정승윤 사무처장은 "공익신고 건수와 신고로 인해 회복되는 금액이 매년 증가하는 등 공익신고가 우리 사회의 불법행위를 차단하는 효과적인 수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도 국민이 안심하고 신고할 수 있도록 공익신고자를 철저히 보호하고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